2년 전만 해도 갤럭시U가 출시됐어도 LG전자 눈치보느라 광고도 제대로 못 때리던 LG유플러스였는데
지금은 타 통신사보다 우월함을 강조하면서까지 갤럭시S3 홍보를 하고 있다.
통신사 3사 중에 제일 열심히 광고하는 것 같다.
LG유플러스가 LTE부터는 정말 확실히 주도권을 잡으려고 노력하는 게 보인다.
출처 - 씨디맨의 컴퓨터이야기(http://cdmanii.com/)
1. 삼성전자의 독주
상반기 휴대폰 시장 점유율 : 삼성전자 65%, LG전자 18%, 팬택 16%, 애플 1%
상반기 휴대폰 판매량 1위 : 갤럭시노트 255만대
2. 외국계 제조사 몰락
HTC, 모토롤라, 소니에릭슨, 노키아, RIM의 신제품 국내출시 0건
3. LTE의 급격한 성장
상반기 LTE폰 점유율 : 53% (전년 점유율 25%)
상반기 3G폰 점유율 : 43%
상반기 피쳐폰 점유율 : 4%
아마존의 킨들파이어2가 7월 31일에 공개 될 것이라는 루머이다.
킨들파이어2는 전작과 같은 199달러의 가격에 1200x800 해상도의 7인치 액정, 8GB 내장메모리가 탑재되어 있고 전작과 다르게 볼륨 조절 버튼과 카메라가 탑재될 것이라고 한다. 광고를 탑재한 스페셜버전이 출시 되면 가격은 더 저렴해 질 수 있다고 한다.
구글과 아수스의 합작인 넥서스7과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이 6월 말까지 읍, 면 단위까지 인구대비 99% 커버리지를 확보해 사실상 전국망 구축을 완성했다고 한다. 이로써 SKT LTE는 커버리지, 속도 두가지 면에서 가장 나은, 1등 통신사의 체면을 유지하게 되었다. 반면 LG U+는 이제 전국망 구축 이미지로만으로 소비자를 어필 할 수 없게 되었고, KT는 전국망 구축이 올해 안으로도 힘들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라 힘든 상황이다. 현재 LTE가입자 수는 SKT가 340만명, LGU+가 250만명, KT가 100만명 수준이다.
품질, 속도 다 떠나서 커버리지는 일단 LG U+가 압도적이고, SKT는 KT에게 커버리지 전쟁에서 지고 말았다. 속도나 음영지역에서의 품질 등은 이 지도로 알 수 없지만 SKT, KT는 언제 전국망 덮을래. SKT는 LTE 2.0을 발표했다고 하는데 두고 볼 일이다.
LG전자도 음성 명령 및 대화가 가능한 음성인식 서비스인 퀵보이스를 공개했다. 애플의 시리와 삼성의 S보이스에 이은 음성인식 서비스이다. 퀵보이스는 기존의 음성인식 기능을 더해 특정 도메인과 검색어를 동시해 음성 입력이 가능하고, 연속 된 질문 처리 기능을 추가하였다. 퀵보이스 기능은 6월 말 옵티머스뷰에 업그레이드 되며 7월에는 옵티머스LTE2에도 업그레이드를 지원해 준다고 한다.
삼성전자의 북미시장 TV부문에서 전분야 1위를 달성하였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2006년 이후 북미시장에서 7년 연속 1위라는 대기록을 세웠다고 한다. 특히 차세대 TV의 꽃이라 불리는 3D TV와 스마트 TV분야에서는 약 50%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사실상 반독과점을 행사하고 있다. 반면, LG는 평판 TV분야에서는 2위를 차지하였지만 3D TV와 스마트 TV분야에서는 조금 뒤쳐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분발이 필요할 듯 싶다.
출처 - 한국경제(http://www.hankyung.com/)
아이스크림샌드위치를 탑재한 첫 갤럭시탭 시리즈인 갤럭시탭2가 그저께부터 미국시장에서 예약판매를 시작하였다. 아마존 킨들파이어의 상승세가 무서웠는지 주력모델임에도 불구 하고 저사양, 저가 정책을 선택하였다. 한화로 30만원이 채 안 되는 저렴한 가격이다.
킨들파이어보다 50달러 비싸지만 디스플레이, CPU등 기본스펙은 동일하면서 두께도 더 얇고, 무게도 더 가볍고, OS도 진저브레드가 아닌 아이스크림샌드위치이기에 갤럭시탭2가 킨들파이어에 비해 꿀릴 것이 전혀 없다. 아마존의 컨텐츠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어플 이것저것 쓰고 간단한 문서작업이나 인터넷 서핑을 목적으로 하는 타블릿 구매 예정자들에게 안성맞춤인 제품인 것 같다. 국내 출시일은 아직 미정이다.
윈도우폰으로 부활을 노렸던 노키아가 윈도우폰때문에 일순간에 추락하게 되었다. 얼마전에 미국에 출시 된 루미아900이 데이터접속에 심각한 오류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주가는 전날 보다 14.5%가 떨어졌고, 시가총액이 하루새에 3조원이 날라가 핀란드 내 시가총액 순위 2위로 내려앉았다. 현재 노키아의 주가는 2000년도 최고가의 5% 밖에 되질 않는다.
데이터접속장애로 인해 루미아900의 구매자들에게 100달러의 통신비를 보상해준다고 하는데 기계값이 99.9달러이니 밑지는 장사를 하게되었다. 올해 1분기 휴대폰 판매량도 14년만에 1위자리를 삼성에게 내주었는데, 그야말로 끝이없는 추락인 것이다.